스마트폰의 위치 측정 기술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
1. GPS 위성신호
2. 이동통신사(Cell-ID)
3. WPS(Wifi Positioning System)
위치 측정 기술에는 정확도와 우선순위가있다 :
1. GPS 위성신호 : 가장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지만, 실내나 고층 건물사이에서는 신호 수신이 어렵다.
2. WPS : 주변 WiFi AP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며, 실내에서 주로 사용
3. 이동통신사(Cell-ID) : 가장 낮은 정확도 (수백 m~수km)
WPS 작동원리
위치를 주변 WIFI AP(공유기) 위치를 기준으로 추정하는 기술이다. 스마트폰은 실내에서 GPS로 부터 위치를 획득할 수 없어 WPS를 사용해서 위치를 추정한다.
WIFI AP 위치 정보는 GPS와 와이파이를 동시에 이용할때 AP의 MAC 주소와 GPS 위치가 구글 서버에 저장된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는것이다.
위치 오류 문제
만약 동일한 공유기를 가지고 이사를 하는 경우, WPS는 기존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전 집으로 위치가 잡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해결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WIFI가 연결된 상태에서 하늘이 보이는곳으로가 GPS가 연결되도록 해야한다. 이는 정확도가 가장 높은 GPS 위치 정보로 WPS를 업데이트 하기 위함
1. 위치 오류가 발생하는 공유기의 wifi 에 연결
2. 스마트폰이 하늘이 보이도록 최대한 기기를 위치시킨다 (중요!)
3. 구글지도를 실행하여 내 위치 찾기 버튼을 누른다
4. GPS 신호가 잡혔다면 내 위치를 알려주는 파란색점이 정확한 위치로 표시된다
5. 이동이 되지않는다면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창문등 최대한 밖으로 위치시키며 다시 시도한다
이렇게 하면 해당 WIFI AP의 MAC 주소와 새로운 GPS 위치 정보가 구글 서버에 업데이트 된다.
스마트폰의 위치 측정은 우선순위에 따라 가장 정확한 GPS 정보를 먼저 사용하기 때문에 위 과정을 통해 새로운 위치 정보가 저장
(일부 블로그에서는 공유기 wifi 이름을 변경하라고 설명하는데 WPS는 wifi 이름(SSID)가 아닌 MAC주소를 기준으로 식별하기 때문에 잘못된 설명)